정일영 의원, 서울대공원 연이은 백두산호랑이 폐사, 관리부실 확인... 원인 규명 및 대책 수립 강력 촉구

기사입력 2024.05.09 18:36 조회수 20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최근 2년간 서울대공원 내 백두산호랑이 5마리 잇따라 폐사... 주요 원인으로는 ▲근무지침 미준수, ▲사육관리시스템 부재 지적

동물원 관리부실로 폐사한 호랑이 ‘태백’ 박제 굳이 해야하나.... 3D, 홀로그램 등 과학기술이 발전한 시대에 비윤리적 발상, 정당화하기 어렵다는 지적 잇따라

 

 

정일영 국회의원, “멸종위기종 폐사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보전을 위한 국가적 차원 대책 마련, 과학기술이 발전한 시대적 관점에 맞는 멸종위기종 박제 여부 재검토 등이 이뤄져야”

정일영(칼라_명함판_사진).jpg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국회의원(인천 연수을)은 9일, 서울대공원 내 백두산호랑이의 잇따른 폐사를 두고 제대로 된 사육관리시스템의 부재를 지적하며, 정확한 원인 규명과 실질적 대책 마련이 조속히 수립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두산호랑이는 IUCN 적색목록 위기(EN, Endangered)종으로‘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교역에 관한 국제협약(CITES)’에 따른 멸종위기종 1급에 해당한다. 세계적 희귀동물인 만큼 보전을 위한 ▲세밀한 모니터링, ▲조기 진료·정밀검사, ▲예방 의학적 관리 등 수준 높은 동물사육관리 시스템 요구된다.

 

그럼에도 최근 2년간 서울대공원에서 백두산호랑이 5마리가 잇따라 사망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사육사 근무지침 미준수 및 사육관리시스템 부재로 확인됐다. 2022년에는 ‘2인 1조’ 근무지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이 큰 원인으로 꼽혔고 2023년에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감염되어 돌잔치를 치른지 불과 10여 일 만에 사망하는 사태 등이 벌어졌다.

 

이에 정일영 국회의원은 “과거 우리나라 백두대간을 뛰놀던 백두산호랑이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대표적 동물원인 서울대공원에서 연이어 사망하는 것은 대공원측의 관리부실과 사육시스템 부실을 보여주는 명명백백한 사례”라며 “이에 대한 발빠른 대처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 의원은 폐사한 태백의 박제를 검토 중인 대공원측을 향해 “대공원의 관리부실로 폐사한 멸종위기 동물을 박제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할 때”라며 “무엇보다 최근에는 3D프린팅과 홀로그램 등 최첨단 기술을 통해 굳이 다소 잔혹한 기법을 필요로 하는 박제가 아니더라도 생전의 동물들의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구시대적 박제 관행을 고집하기 보다는 첨단 시대에 맞는 동물 보전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만석 기자 mskim55515@naver.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인터넷핫뉴스 & schi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