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적극행정으로 동단위 마을건강센터 가능해진다

멀리있는 자식보다 가까운 마을건강센터가 효자야~!
기사입력 2019.06.16 07:46 조회수 196
댓글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 부산시가 제안한 ‘동단위 마을건강센터’사업,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에 새로운 모델로 추가

◈ 지역보건 의료기관으로의 승격, 마을건강센터 확산 위한 국비 확보 등 길 열려

◈ 부산시, 2022년까지 모든 동에 마을건강센터를 설치 계획, ‘건강하고 행복한 동네 만들기’주력

 

  부산시(시장 오거돈)는 민선 7기 시정을 출범하면서 시민이 동 주민센터 등에서 질병예방과 건강관리를 위한 상시 건강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동단위형 건강생활지원센터』설치 사업을 보건복지부에 지속적으로 제안한 결과, 보건복지부가 이를 적극 채택함으로써 시민 모두가 양질의 건강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image01.png


 시는 각 동에 마을건강센터 설치와 함께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참여의 건강한 마을 만들기 활동으로 심뇌혈관질환․암․치매․정신질환 등 특․광역시 중 최하위에 있는 건강지표를 개선하고 시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 왔다.

 

 마을건강센터는 현재 58개동에 설치됐으며, 2022년까지 모든 동에 설치할 계획이다. 정규직 간호사, 마을 간호사, 마을 활동가가 한 팀을 이루어 작은 보건소 기능(만성질환 관리 등) 외에 주민건강리더 양성(3천여 명), 건강동아리 결성(1천400여개), 자살예방지킴이단 등 건강 활동들이 마을단위로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강공동체의 공간적 기초이다.

 

 다양한 형태의 마을건강센터 운영결과 동 주민센터 내 설치운영이 주민이용편리, 손쉬운 홍보 등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었으나, 동 주민센터의 노후, 공간협소, 동 기능 전환에 대한 인식부족, 리모델링에 따른 예산 수반 등으로 마을건강센터의 확산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부산시는 마을건강센터의 확산을 위한 국비 확보 및 법적 기구화 등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구축사업) 등에 마을건강센터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알렸고, 중앙부처와 전국 지자체들의 벤치마킹이 쇄도하는 등 우리시 마을건강센터의 우수성이 점차 인지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에서 2013년부터 만성질환예방 및 관리를 위해 소생활권 중심 건강생활지원센터를 전국 공모를 통해 설치 중이었으며 센터 건립 조건(연면적 825㎡, 국비 10억, 전문인력 최소 배치기준 등) 등의 문제로 확산속도가 매우 느린 상황에서 유사기능을 가진 우리시 마을건강센터는 공모 자체가 불가한 상태였다.

 

 부산시는 ‘동단위형 건강생활지원센터’ 실현 및 확산을 위해 보건복지부를 상대로 끈질긴 설득과 적극적인 제안을 한 결과, 보건복지부의 관련 법적 검토와 ‘20년 건강생활지원센터 공모’에서 부산시의 제안을 적극 반영한 ‘동단위형 건강생활지원센터’라는 새로운 사업 유형의 추가를 이끌어 냈다.

 

image02.png

 

이로써 부산시는 기존 설치된 마을건강센터를 법적기구인 지역보건 의료기관으로의 승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으며 마을건강센터의 확산을 위한 시설비 등 국비 확보의 길도 열게 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시민의 건강수준을 개선함과 동시에 자치분권 및 동 기능 혁신을 위해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에 대한 구·군의 적극적인 관심과 응모를 당부하였다.”라며 많은 동이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하였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저작권자ⓒ인터넷핫뉴스 & schi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